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6

의학용어 LOC (Level Of Consciousness) 의식 수준 정의, 수준별 특징 여러 대학 병원을 전전하며 받은 엄마의 진료 기록지를 읽다 보면 의학용어들을 공부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환자의 의식 수준을 판단하는 의학용어 LOC = Level Of Conscioussness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1. LOC(Level of Consciousness)의 정의 LOC는 환자의 의식 수준 즉, 인지력과 환자가 현재 자신의 주변 상황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환자분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환자분 여기가 병원이 맞나요?", "환자분 눈 떠보세요.", "지금 낮이에요, 밤이에요?" 등의 질문들은 환자의 지남력을 알아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질문입니다. 2. LOC의 수준별 특징 의식 수준은 크게 coma 혼수, semi-coma 반혼.. 2022. 8. 29.
위루관 뱃줄 식사 vs 비위관 콧줄 식사 - 위루관의 정의, 비위관 콧줄 식사와의 장단점 비교 다양한 이유로 삼킴 곤란(dysphasia) 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입으로 음식을 먹기가 어렵기에 위루관을 통한 뱃줄 식사 또는 비위관을 통한 콧줄 식사를 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루관의 정의와 위루관 그리고 비위관과의 장단점을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1. 위루관의 정의 위루관(Gastronomy tube, G-tube 또는 PEG-tube)은 환자의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 만든 관으로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PEG,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을 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내시경을 이용하여 튜브를 복부 쪽 외부에서 위로 바로 연결되게 만들어 환자의 위로 영양을 바로 공급할 수 있습니다. 2. 위루관 뱃줄 식사 vs 비위관 콧줄 식사 연하.. 2022. 8. 28.
연하 검사,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VFSS) vs 내시경적 연하 검사(FEES) 연하장애가 있는 환자분들은 연하 치료를 받으며 연하 검사를 통해 그 경과를 확인합니다. 연하 검사 상 환자의 삼킴이 원활하면 콧줄 혹은 뱃줄을 빼고 입으로 음식을 드실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와 내시경적 연하 검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VFSS,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는 말 그대로 환자가 음식물을 삼키는 모습을 X-ray처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환자가 바르게 앉은 자세로 음식을 삼키며 넘어가는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을 하며 검사를 합니다. 검사에 활용되는 방사선 조영제에는 바륨이 포함되며, 이 성분을 음식물에 섞어 환자가 넘기면 그 과정이 투시되어 보이는데요. 검사.. 2022. 8. 27.
우리나라 성인 7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 혹시 나도 당뇨일까 궁금하신가요? 무료로 혈당 측정기 받고 확인해보세요 우리나라 성인 7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이며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를 포함한 인구는 1,440만 명에 이르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당뇨에 관한 간단한 정보와 당뇨인지 확인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 키트를 무료로 받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1.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정의 당뇨는 혈액 중의 당분을 세포 내로 흡수하여 혈중의 당(혈당)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분비에 문제가 있어, 혈당 수치가 높아지는 질환입니다. 인슐린을 전혀 생성하지 못하는 당뇨를 1형 당뇨, 정상적으로 인슐린이 분비는 되지만 수용체에 문제가 생기는 당뇨를 2형 당뇨라고 합니다. 영어로 Diabetes Mellitus라고 하며, 줄여서 DM이라고도 하는데요. 당뇨병의 이름의 의미가 바로 당뇨.. 2022.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