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혈압 그리고 투석 환자와 관련한 의학용어 HTN, HBP, ESRD, AVF, edema의 정의 및 예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요양급여의뢰서를 읽으실 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1. HTN의 정의
HTN은 Hypertension의 약어로, 고혈압을 의미합니다.
- 발병 이후 진단받은 HTN에 대하여 medication 중임.
-> 발병 이후 진단 받은 고혈압에 대하여 약물치료 중임.
만약 고혈압으로 인하여 약을 복용하고 있는 중이라면 요양급여의뢰서에 위와 같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2. BP, HBP의 정의
BP는 Blood pressure의 약어로 혈압을 의미합니다. HBP는 High blood pressure의 약어로 고혈압을 의미합니다.
- 입원 당시 BP well controlled
-> 입원 당시 혈압이 잘 관리되었음.
- 본과 재원 중 High BP(=HBP) 소견 보여 시행한 MN 협진 상 투석 시 dWt. 49kg target으로 투석 시행 권고받음.
-> 입원 중 고혈압 소견 보여 시행한 MN(=Mid Night) 밤중 협진 상 투석시 dWt(=Dry weight) 건체중 49kg 목표로 투석 시행 권고받음.
3. ESRD, AVF, edema의 정의
ESRD는 end-stage renal failure 말기 신장 기능상실 즉, 말기신부전을 의미합니다. 신장 기능이 15% 이하로 떨어져 투석치료 혹은 이식 치료가 필요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AVF는 AV(=Arteriovenous 동정맥이 모세혈관을 거치지 않고 바로 연결된) fisula(누공= 동맥과 정맥을 연결해주는 누공)의 약어로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투석용 혈관, 동정맥루를 의미합니다. 동맥과 정맥을 연결시켜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 AVF가 있는 쪽의 팔로는 혈압을 재면 안 됩니다. edema는 부종이란 뜻으로 쉽게 말해 우리 몸 내부에 액체가 과하게 있어 부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 s/p Rt. kidney trasnplantation
- s/p (=status post operation, 수술 후 상태) 오른쪽 신장 이식 수술
- s/p AVF formation
- 수술 후 상태, 동정맥루 형성
- AVF edema 심해 perm cath.로 투석 시행함.
- 동정맥루 부위의 부종이 심해 perm cath (터널식 카테터) 쇄골 부위에 위치한 펌캐쓰로 투석을 시행함.
- Lt. AVF / Rt. AVF
- Left. 왼쪽 AVF / Right 오른쪽 AVF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15프로맥스 미국 직구 후기 가격 배송대행지 기간 (0) | 2023.11.19 |
---|---|
부산 야간 약국 부산광역시 주관 및 보건 복지부 주관 공공심야약국 정보 (0) | 2023.08.26 |
장애인 난방비 지원 에너지 바우처 제도 총정리 -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지원 받는 방법 (0) | 2023.02.01 |
부산 장애인 이동 목욕 무료 서비스 사업 대상 및 이용 방법 (0) | 2023.01.25 |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받는 방법 알아보기 (feat. 보건복지부 보조기기 정보알리미 어플) (0) | 2022.08.31 |
댓글